-
[5화] 일본은 진짜 느린 사회인가?일본어 2021. 5. 24. 20:47
일본은 자전거를 많이 타는 사회입니다. 일본은 지금까지도 자전거를 많이 타는 사회입니다. 물가는 약 30년동안 거의 변하지 않았습니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많이 올랐죠. 1985년 일본 플라자합의 이후로 일본경제성장은 동력을 잃었습니다. 노령화도 시작되었죠. 이제 조금 나아졌지만 아직까지 현금을 사용하는 비율이 높습니다. 왜 그럴까요?
1.멈춘 경제
일본은 1985년 플라자합의 이후로 경제가 급격하게 내려가기 시작합니다. 이에 따라 소비가 위축되고, 기업에서도 제품을 생산할 때 '팔릴 수 있는 제품'을 주로 생산하게 되죠. 어떤 분야에 과감한 투자를 하기 어려워진 사회 분위기가 되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예전에도 '소니' 하면 지금의 애플과 같은 '혁신'적인 느낌이었지만, 이 느낌도 이제 거의 사라졌습니다.
2.노령화
두번째, 노령화 문제입니다. 일본어로는 소자화(少子化)라고 하는데, 과거에 비해 경제적으로 어려워진 사회가 되자 출산율이 내려갔고, 그에 따라 시니어층이 많아지면서 노령화가 진행되었습니다. 이에 시니어층을 타겟으로 한 제품, 서비스가 많이 발달되었죠. 우리나라도 출산율 저하가 일본 이상으로 심각해지면서 일본을 참조하고 있기도 합니다.
젊은이들이 사라지고 시니어층이 많아지게 되면 새로운 것을 개발하고 시도하기보단, 과거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향이 짙어집니다. 애플에서 아이폰12까지 출시된 지금, 일본은 지금도 피쳐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노트북을 보더라도 삼성과 LG의 경우에는 애플 맥북과 비슷하게 만들려고 하지만, 일본 메이커들은 90년대 감성으로 아직도 투박한 디자인의 노트북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파나소닉 '렛츠노트'가 있겠네요. 무조건 내수시장에서 '팔릴 수 있는' 제품을 아직까지 선호하고 있어서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일본시장이 우리에게 매력이 없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아직까지도 일본에서 팔린 제품이라고 하면 우리나라에서도 인정받을 수 있는 효과는 아직도 있어요. 네이버 '라인'의 사례가 있겠네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카카오톡을 절대다수가 사용하고 있지만, 일본에서는 거의 모든 사람들이 '라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카톡할래?'라고 하듯, 일본에서도 문자 보낼 때 '라인할래?'라고 합니다.
일본이 우리나라에 비해 '느린 사회'인 것은 확실히 맞습니다. 그러다보니 같이 일할 때 답답한 면들이 굉장히 많았어요. 우리나라사람들은 돌다리를 두번 정도 두들기고 업무를 하는데, 일본 친구들은 돌다리를 천번은 두들기는 느낌입니다. 제품을 빨리 출시하기보다는 안정적으로 '팔릴 제품'을 출시하려고 하니 우리나라 사람들과 의견 조율이 힘들 수밖에 없어요. 서로 이해하고 업무에 임해야 합니다.
이처럼, 번역이나 통역은 단순히 언어를 아는 사람이 아니라 그 문화도 함께 아는 사람이 해야 합니다.
제대로 된 번역을 맡기고 싶으시다면 아래를 클릭해 주세요.
⬇︎⬇︎⬇︎⬇︎⬇︎⬇︎⬇︎⬇︎⬇︎⬇︎일본계 IT회사 근무 경력자가 한일 일한 번역해 드립니다. | 5000원부터 시작 가능한 총 평점 5점의
40개 총 작업 개수 완료한 총 평점 5점인 허번역의 번역·통역, 산업별 전문번역, 일본어 서비스를 32개의 리뷰와 함께 확인해 보세요. 번역·통역, 산업별 전문번역, 일본어 제공 등 5000원부터 시
kmong.com
⬆︎⬆︎⬆︎⬆︎⬆︎⬆︎⬆︎⬆︎⬆︎⬆︎
'일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7화] 근대일본어로 'I love you'는 '달이 예쁘네요'였다? (0) 2021.06.06 [6화] 일본에서 '박진영'J.Y.Park의 인기는? (0) 2021.05.28 [4화] 한국영화는 일본영화에서 어떻게 번역될까 (0) 2021.05.23 [3화] 번역을 잘 하는 사람이란? (0) 2021.03.09 [2화] AI가 통번역을 대체할 수 있을까 (0) 2021.03.08